
국토교통부가 올해 노동자 4명이 사망한 포스코이앤씨 건설현장에 대한 전국 100여 개 현장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건설 면허 취소와 공공입찰 금지 등 강력한 제재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가운데 이번 점검은 제재 수위 결정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여권에 따르면 국토부는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을 맡은 전국 건설현장 100여곳에 대해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포스코이앤씨 현장에서 발생한 추락, 붕괴, 기계 끼임 등 5건의 중대재해 원인과 안전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한다. 점검 항목은 설계도면, 시공상세도, 안전관리계획 이행 여부, 정기 안전점검 실시 여부, 품질관리계획 등 30여 개에 달한다. 국토부는 조사 결과를 취합해 9월 중 대통령에게 보고할 예정이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아니냐”며 포스코이앤씨의 안전관리 부실을 강하게 질타했다. 그런데 엿새 만인 이달 4일 미얀마 노동자가 감전 의심 사고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되어 사망하는 사고가 또 발생하자 이 대통령은 휴가 중에도 6일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서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매뉴얼 준수 여부와 예방 가능 사고 여부를 면밀히 조사하라고 주문하며, 징벌적 배상제 등의 추가 제재도 검토하도록 했다.
정부는 이번 전수조사와 조사 결과에 따라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최고 수위의 법적 및 행정적 제재를 단행할 방침이다.
한편 잇단 중대재해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이사가 사의를 표명했으며, 포스코그룹은 송치영 부사장을 중심으로 안전특별진단 TF를 구성해 안전관리 혁신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