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터 이메일 전송

전기요금 급등·미국 상호관세 발효에 신음하는 지역 제조업계

7일 오후 1시1분부터 미국과 상호관세 15% 공식 발효
산업용 전기요금 최근 2년 새 70%가량 인상
구연주 기자 2025-08-08 12:57:28
본문 이미지
▲지역 제조업계가 최근 몇 년 새 급격히 오른 산업용 전기요금과 7일 발효된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신음하고 있다. 사진은 대구성서산업단지 전경.

“전기료 부담 때문에 공장을 가동하면 할수록 손해입니다.” “미국 상호관세까지 겹치면서 정말 죽을 지경입니다.”

대구성서산업단지에 입주한 제조업체 대표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이들은 “가파른 전기료 인상으로 공장을 돌릴수록 손해를 보는 기형적인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며 “전기료 인상분만큼 납품가격을 올릴 수도 없고, 여기에 상호관세까지 받게 되면 결국 문을 닫는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지역 제조업계가 최근 몇 년 새 급격히 오른 산업용 전기요금에 신음하고 있다. 게다가 7일 오후 1시1분 시행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도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경영환경을 옥죄고 있다.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h당 10만 원 이하의 저렴한 산업용 전기요금 덕분에 제조업을 하기 좋은 나라로 통했다. 하지만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불과 2년 사이 300㎾ 이상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70% 가량 인상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과거 기업의 경제적 역할을 고려해 산업용 전기요금이 주택용보다 낮게 책정됐지만, 2023년부터는 산업용이 가정용을 앞지른 상황이다. 같은 기간 가정용 전기요금은 약 30% 인상에 그쳤다.

특히 에너지 소비가 많은 금형과 주물 등 ‘뿌리산업’은 그야말로 직격탄을 맞은 셈이다. 성서산단에서 금형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김모씨(60)는 “매달 매출의 20% 가까이가 전기요금으로 나간다. 수십 년간 금형업계에 몸 담아왔지만, 지금처럼 힘든 적은 없었다”며 “여기에 관세 타격까지 덮치면서 수익성 악화는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 될 것”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제조업계의 어려움은 이미 확인된 사실이다. 지난 2월 대구상공회의소가 대구지역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82.3%가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경영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이들 기업 중 68.4%는 정부나 지자체의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해 뽀족한 대책이 없다고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대기업처럼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기도 어려운 중소기업은 급등한 전기요금에 속수무책이다. 하지만 정부는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전체 전력 소비량의 절반 이상(53.2%)을 차지하는 산업체는 전체 고객 수의 2%에도 미치지 않으며, 이들의 저렴한 요금체계가 구조적 왜곡을 초래해 왔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전력의 만성적인 적자와 재무건전성 회복의 필요성도 산업용 전기요금을 인상한 논리의 핵심 근거로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전기요금 인상이 기업의 비용부담을 넘어,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산업의 근간인 제조업의 경쟁력마저 저하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 정치권과 경제계는 전기요금 인상과 미국 상호관세 부담에 따른 정부의 지원을 연일 촉구하고 있다. 이영애 대구시의원(달서구1)은 “전기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산업구조 특성상 에너지 효율 개선은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전략”이라며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정책 설계와 실행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지역 경제단체의 한 관계자는 “현재 지역기업들은 미국 상호관세 부과와 전기요금 인상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글로벌 경기회복 둔화와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현재보다 더 어려울 상황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와 지차제의 보다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