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간 대학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수도권 대학생 수가 2년 연속 증가하면서 국정과제인 '지방대학 시대'와 정반대 흐름을 보였다. 학령인구 감소 속에서도 수도권 중심의 정책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기본통계의 '연도별 일반대학·전문대학 재적학생 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대학생 비중이 2014년 37.27%에서 2024년 42.52%로 5.25%포인트(p)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전문대학도 같은 기간 수도권 비중이 42.56%에서 46.54%로 3.98%p 늘었으며, 일반대와 전문대를 합친 전체 수도권 비중은 38.63%에서 43.37%로 4.74%p 상승했다.
전체 대학생 수는 학령인구 감소로 2014년 213만46명에서 2024년 183만6천625명으로 29만3천421명이 줄었다. 수도권 대학생 수는 같은 기간 1만2천851명 감소(–1.62%)에 머문 반면, 비수도권은 28만570명(–21.00%)이 줄었다.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에는 수도권 대학생 수가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다. 수도권 대학생 수는 2022년 77만693명에서 2024년 78만961명으로 1만268명(1.33%)이 증가했다. 반면 비수도권은 같은 기간 6만2천342명(–5.58%) 줄었다. 수도권 비중 역시 2022년 40.81%에서 2024년 42.52%로 상승했다.
지역별로 보면 10년 새 대학의 학생 수 비중이 경기(3.65%p), 서울(1.05%p), 인천(0.55%p), 세종(0.41%p), 대전(0.25%p) 등지에서 증가한 반면, 부산(-1.19%p), 대구(-0.10%p), 경북(-0.98%p) 등 12개 시도는 하락했다. 전문대학은 서울이 2.36%p 상승하며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정부가 첨단학과 증원 등으로 수도권 대학에 입학정원 확대를 허용하면서 이러한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기존에는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정원 확대가 제한돼 있었지만, 반도체 등 특화 인재 양성을 명분으로 규제가 완화되면서 지역 대학들의 반발도 커지고 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