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해법으로 지역 대학 육성이 제시되고 있다. 소멸위험지역의 대학들이 지역 경제와 교육 환경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대학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학생 유치와 정착을 동시에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이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사총협)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2024 대학교육 통계 자료집'을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국 228곳 시군구 중 57%인 130곳이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되며, 이 지역에 모두 65개의 대학이 있다. 이 중 51개는 사립대학으로, 지역 소멸 방지의 핵심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 대학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사총협은 이러한 대학들이 단순히 교육 기능을 넘어서, 지역 경제와 사회의 중심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했다. 최대해 대신대 총장은 "소멸 위험지역에 있는 대학들은 재정적 지원 외에도 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총협은 '교육–취업–정주' 선순환 구조를 통해 지역 대학이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한 첫 번째 전략은 정부의 재정적 지원 확대다. 정부는 소멸위험지역 대학에 대해 재정 지원을 늘리고, 지자체는 학생들에게 등록금, 국가장학금, 기숙사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전략은 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 유치와 대학의 학과 재편성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지역 특성에 맞는 공기업 및 중소기업을 유치하고, 대학은 이를 기반으로 취업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이러한 전략은 지역 학생들의 정착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와 교육 환경의 활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2024년 대학교육 통계에 따르면, 지역 대학들이 직면한 재정적 어려움은 심각하다. 사립대학의 경우, 등록금 의존율(50.2%)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학생 수 감소로 재정이 더욱 악화하고 있다. 2024년 사립대학의 등록금 수입은 9조8천억 원으로 2020년보다 약 1천억 원 감소했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는 "사립대학의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소멸 위험지역 대학들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재정적 지원 외에도 정부와 지자체의 맞춤형 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댓글
(0) 로그아웃